×

norisum tuto's video: 2018 12 - - 02

@[노리섬의 애프터이펙트 2018 ] 12강-마스크 알아보기 - 02
#마스크 #모션그래픽 2018버전으로 설명하였으며 기초부터 설명 되었습니다. 현재 나온 2020 버전과는 대동소이하며 혼자 자격증 공부 하시거나 연습하시는 분들에게는 2020버전과 크게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스크 - 도형툴 정리 레이어가 선택이 되어진 상태에서 그리기 선택이 되어져 있지 않다면 쉐이프레이어라는 기능으로 나옴 마스크의 도형 옵션키 - 화살표 방향키로 라운딩 처리나 각의 갯수를 늘릴수 있다. 별의 모양의 경우 ctrl 키로 내각이 커지는 크기를 조절 가능 마스크(도형툴)의 초기화 - 도형툴 더블클릭 초기화의 기능과 마스크가 선택이 되어있다면 덮어씌기 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크기에 맞춰 그려진다. 펜툴로 점을 찍어주어 자신이 처음 찍었던 점을 마무리로 도형이 생성 기본 펜툴의 상태에서 도형의 라인에 점을 찍어 도형에 점을 추가 가능 펜툴의 상태에서 ctrl 키를 누른체로 점을 클릭하면 점을 제거 펜툴의 상태에서 alt 키를 누른체로 점을 클릭하면 각진 형태의 점라인이 곡선 라인으로 변경 (auto beizer)-핸들러 생성 핸들러를 움직이면 선의 곡선 모양을 바꿔주기가 가능 alt키를 누른체로 핸들러를 움직이면 곡선의 양쪽 방향을 다르게 조절 가능 다시 펜툴의 상태에서 곡선의 점에 alt키를 누른체로 클릭하면 핸들러가 사라짐 mask path - 점이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mask feather - 마스크 영역의 경계면을 부드럽게 처리 mask opacity - 마스크 영역의 투명도를 설정 mask expansion - 마스크 영역의 확장 (꼭지점의 경우 확장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 점들이 선택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점을 더블 클릭하면 선택되어진 점들의 트랜스폼 가이드가 나와 모양을 변경 가능 mask 옵션 두개 이상의 레이어가 겹쳐졌을 때 사용 가능 add - 순차적으로 봤을때 위의 마스크 영역에 다음 차순의 마스크 영역 합쳐 보이게 만들기(합집합) subtract - 순차적으로 봤을때 위의 마스크 영역에 다음 차순의 마스크 영역을 없애주기(차집합) intersect - 순차적으로 봤을때 위의 마스크 영역에 다음 차순의 마스크 영역과 겹쳐진 부분 보여주기(교집합) difference - 순차적으로 봤을때 위의 마스크 영역에 다음 차순의 마스크 영역과 겹쳐진 부분을 제외한 부분 보여주기(여집합) lighten - add의 영역에서 겹쳐진 부분의 투명도가 마스크 영역중에 투명도가 제일 높은 값을 쫓아감 darken - intersect의 영역에서 겹쳐진 부분의 투명도가 마스크 영역중에 투명도가 제일 낮은값을 쫓아감 (intersect 로 만든 다음 레이어 투명도를 조정해도 같은 효과)

4

1
norisum tuto
Subscribers
9.5K
Total Post
159
Total Views
21.7K
Avg. Views
409
View Profile
This video was published on 2020-11-02 20:38:11 GMT by @norisum-tuto on Youtube. norisum tuto has total 9.5K subscribers on Youtube and has a total of 159 video.This video has received 4 Likes which are lower than the average likes that norisum tuto gets . @norisum-tuto receives an average views of 409 per video on Youtube.This video has received 1 comments which are higher than the average comments that norisum tuto gets . Overall the views for this video was lower than the average for the profile.norisum tuto #마스크 #aftereffects #모션그래픽 2018버전으로 has been used frequently in this Post.

Other post by @norisum tuto